프로그래밍1 개발하면서 배웠던 점 return, parameter는 Map, jsonObject 같은 모호한 Type으로 받지 말고 객체로 관리하자. 레거시 코드에서는 Controller 부분과 서비스 함수에 넘어가는 파라미터가 jsonObject 되어있어 어떤 값이 들어가는지 보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파라미터가 유추할 수 없는 라이브러리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DTO 사용하여 개발하였습니다. 실패 지점을 체크하고 의미있는 예외를 생성하자 코드 플로우가 실패 지점에서 멈추지 않고 파생되어 엉뚱한 곳에 예외가 찍힐떄와, 빈 값 예외를 던지는 경우 던져진 예외들이 불명확하여 분석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. 그래서 자신이 만든 함수에서는 적어도 실패 지점을 체크하여 옳바른 예외 메시지를 던지게 개발하였습니다. @RestController.. 2022. 7. 9. 이전 1 다음